http://blog.daum.net/ybok1004/
전국 경기 수원시 장안구(현재접속지역) 읍·면
아침에 일어나 보니 아내가 식전에 베이지물을 마시고 있었다.
어제 저녁에 밥을 적게 먹고 남겼으니 시장했나 보다.
요즘 아내가 밥을 제대로 먹지 않고 있어 이제는 힘이들고 짜증이 났다.
3년째 아내 밥상을 차려 주지만 제대로 먹지 않고 반찬 타령이 심해 어이가 없다.
화가 난 나는 요양병원에 가서 있으면 좋겠다고 화를 퍼 부었다.
아침마다 아내 식사문제로 여러가지 걱정과 고민이 많다.
이른 아침 테니스 코트에 나가 운동후 서각작품 원고를 복사했다.
12시 윤형돈 시인을 만나 점심식사후 아내에게 먹을 삼계탕을 포장해 저녁식사로 먹게했다.
밤 12시까지 소설 원고를 정리했다.
월9일 오후6시반 화성옥.
참석자; 이창식고문, 유선원로
밝덩굴고문, 임병호고문.
김훈동고문. 참석
ㅡ 수원문인의 집의 환경 및 구조변경.
◆2019/05/09(목) 부모 생각 (374) |
|
부모 생각 우리 조상들이 수천 년 또는 수억 년 지치지 않고 사용해 온 '어버이' 라는 낱말은 이 나라 백성만이 쓰는 고유의 낱말인데 듣기가 우선 사랑스럽고 감동스럽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없는 자식은 태어나지 않는다. 부모의 얼굴뿐 아니라 성도 이름도 모르고 자라는 불행한 사람들이 있기도 하지만, 그런 부모일 지라도 그리워하는 마음은 간절할 것이다.
봉사의 문화가 한결같이 고아들을 매우 불쌍하게 여기는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억조창생이 모두 어버이의 사랑을 그리워하고 그 사랑 때문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산다.
나는 지극히 평범한 집에서 태어났다. 아버님의 조상들은 본디 평안남도 강서 사람들이고, 어머님의 고향은 평안남도 맹산이다. 두 분이 결혼을 한 까닭에 나는 김 씨 가문에 아들로 태어날 수 있었다. 내 위로는 누님(옥길)과 형(도길) 두 사람이 있었고, 그 당시 나의 아버님은 맹산 원남면의 면장이셨음으로 나는 면장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셈이다.
나의 아버님(김병두)은 강서에서 서당에 다니셨기 때문에 한문 지식은 상당하였지만 정식으로 학교에 다닌 적이 없어서 독학으로 역사와 일본어를 익혔다고 들었다. 나의 어머니(방신근)는 맹산 고을의 낮은 벼슬을 했던 외할아버지의 따님으로 평양에 가서 숭현 학교에 3년쯤 다녔다고 한다. 두 분 모두 선량하고 남들을 도우려고 애쓰는 그런 부모였고, 따라서 나의 어린 세월은 행복하기만 하였다.
90노인이 된 오늘 까닭 없이 아버님, 어머님이 그리워진다. 나이 때문에 더욱 그런 것 같다.
김동길 Kimdonggill.com |
|
|
|
|
'24. 사진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5. 11. 사진 일기(삼홍테니스 동호인들 1박2일 야유회,안희두 교장 딸 결혼식 참석) (0) | 2019.05.11 |
---|---|
2019. 5. 10. 사진 일기(안시회 모임, 수원문협이사회) (0) | 2019.05.10 |
2019. 5. 8. 사진 일기(수이테 모임, 박병두회장 저녁식사) (0) | 2019.05.08 |
2019. 5. 7. 사진 일기(경기대 시창작 수강, 오이도에 부는 바람 소설 원고 1차 탈고) (0) | 2019.05.07 |
2019. 5. 6. 사진 일기(오이도에 부는 바람 소설 쓰다. 어버이날 두 딸 사위와 점심식사)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