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ybok1004/ 홈피 바로 가기
국제 테니스대회 호주 오픈 바브리카 우승 장면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7e9xRbwbUYsww44RbUpRY
2016. 7. 15. 김용복 이준찬/장대원 박승혜 테니스 경기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b08ff7BiwuOBEnjfnmij
이른 아침을 챙겨 먹고 아내 밥상을 차려 놓았다.
그리고 7시경 테니스 코트에 나갔다.
50대 젊은 회원들과 어울려 연속 두셑 경기로 땀을 흘렸다.
기분이 하늘을 날것처럼 상쾌했다.
오늘 12시 파장동 개성식당에서 경기대 시창작반 시와길 문우들 종강식있는 날이다.
그리고 오후 4시 수원문학 송년 출판기념회가 장안구민회관에서 있다.
아내도 참석하고 싶다고하여 함께 가기로 약속했다.
오랜만에 참석하는 나들이 염색도 하고 화장도 했다.
수원지리가 생소한 멀리서 오시는 시인을 경기대 역에서 11시 30분경 마중했다.
12시 개성식당에서 이지엽교수님을 모시고 종강식과 아울러 점심 식사를 했다.
오늘로 6학기 종강이다.
먼 훗 날 내가 세상 떠나고 없는 날 내 시집을 읽으며 나를 기억하는 시를 쓰고 싶다.
나이도 많고 남자 하나로 남아 같이 공부하다가 작년에한 남자가 입학했다.
내년 학기에 또 수강을 해야 하나 생각이 많다.
오늘은 아내가 수원문학 송년행사에 가고 싶다고 며칠 전 부터 성화다.
멀지 않은 바로 집앞 장안구민회관이라 참석 하기로 했다.
몸이 불편하지만 목욕도하고 염색도하고 화장도 했다.
3시 30분경 아내를 데리고 행사장에 갔다.
아내가 아프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문우들의 안부가 반가웠다.
강당 중간쯤에 앉아 행사를 보았다.
3시간이 지나자 몸이 불편하여 모살이 날것 같다고해 두째 딸을 불러 아내를 집에 보냈다.
8시 30분경 행사를 마치고 구내식당에서 저녁 식사후 집으로 왔다.
아내가 밤새 힘이들며 끙끙 앓았다.
그래도 기분이 좋게 시낭송도 듣고 그동안 반찬을 가져다 준 사람들에게 고맙다고 인사하고 나니
마음이 편하다고 했다.
어느카페 대문에 걸린 사진이다.
아내가 보더니 숨겨논 자식이야 농을 걸었다.
아침에 바라 본 아파트 후문 거리 풍경
장안구청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경기대 시창작 수강생 종강파티장 개성식당
박희옥 시인(회장)
민병주 시인
김서미 시인/목포에서 수강에 참여한다.
밝고 명랑해 보기에 좋다.
홍선옥 시인/양평 드물머리에서 수강에 참여한다.
꽃처럼 아름답다.
윤태희 시인,화가
꽃을 든 미인들
김선호 시인
안연식 시인
방통대 공부하느라 고생이 많다.
이명희 시인
안연식시인과 함께
조용하면서 친절해 좋다.
항상 명랑한 과희옥 시인
테니스가 수준급이라는데 한번 도전하고 싶다
이지엽 교수님을 모시고
인자한 교수님 모습이 보기 좋다.
교수님께 감사의 꽃을 전했다.
각자 준비한 선물을 교환했다./ 나는 준비를 못하여 미안했다.
선물받고 아이들 처럼 즐거워 했다.
점심메뉴
남은 떡 나누기 가위 바위 보
드디어 떡이 담첨된 안연식 시인
종강기념
시인들의 환영을 받는 아내
우리 달분이 호강하네
웃는 모습이 참 보기 좋다
한가한 나들이 티타밍
떡 타먹기 가위 바위 보
달은 먹는 나무
◆2018/12/18(화) 나는 죽고 너는 살고 (232) |
|
나는 죽고 너는 살고 세상 사람들이 무슨 어려운 일을 당할 때마다 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하여 남들을 죽을 고비로 몰아넣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사실상 ‘나’는 ‘너’ 없이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얼핏 보면 내가 살기 위해서는 남을 희생 시킬 수밖에 없다고 어리석은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라는 말이 절실한 것은 나는 너 없이 존재 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가 같이 살아야지 너는 죽고 나만 사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라는 말은 세상을 바로 볼 줄 아는 이들이 만들어 낸 낱말이다. '우리'는 같이 살아야 마땅한 일이지 너는 죽고 나만 산다는 것은 이치에 어긋난 일일 뿐 아니라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나는 죽고 너는 살게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사는 것임을 점차 깨닫게 될 것이다.
옛날 앵글로색슨족을 하나로 뭉치게 하여 사실상 잉글랜드 통일을 이루게 하였다는 영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전쟁터에 나갔다가 부상을 당한 적이 있다. 그는 다른 병사들과 함께 이글이를 타오르는 태양아래 쓰러져 괴로워하고 있었다. 그때 어느 부상을 당한 병사 하나가 목이 타서 물을 찾으며 고통스러워 하는 것을 보고 쓰러져 있던 알프레드 대왕이 “Your need is greater than mine”이라고 하면서 그 병사에게 물이 조금 남아있는 물통을 건네주었다고 한다. 영국은 위대한 나라였다.
김동길 Kimdonggill.com |
|
'24. 사진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12. 19. 사진 일기(수이테 모임) (0) | 2018.12.20 |
---|---|
2018. 12. 18. 사진 일기(수원문학상 시상식 및 송년 기념회) (0) | 2018.12.18 |
2018. 12. 17. 사진 일기(사유의 바다 수강) (0) | 2018.12.17 |
2018. 12. 16. 사진 일기(민어 매운탕 끓이다. 아내외식) (0) | 2018.12.16 |
2018. 12. 15. 사진 일기(삼홍테니스 회장 딸 결혼식 참석) (0) | 201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