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문학기행

예술 나드리 6.25

무봉 김도성 2016. 6. 25. 22:30

2016. 6. 25. 오후 7시 장안공원에서 수원 예총상설공연 예술나드리가 있었다.

수원 문협 진순분 시조시인과 윤형돈 시인의 시낭송 이 있었다.








































6.25전쟁66주년에 즈음하여 미국국가기
록원(NARA)에서 수집한 6.25전쟁발발
부터 정전협정까지 3년여간의 전황과 사
회상을 나타내는 사진속에서 역사속에 잊
혀져가는 6.25전쟁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지금 국립중앙도서관본관1층전시관에서
전시되고있습니다.
북한 핵미사일이 미군전략기점인 괌기지
까지 사정권을 눈앞에 있는 현싯점에서
6.25전쟁의 의미를 갖는 뚯깊은기회로서
다시 한번 마음을 다져보는 좋은 전시회
라고 의심치않습니다.

전시회포스터

6.25전쟁발발다음날 신문보도내용
(연합신문)

원산근처 철도수리기지내 미군폭탄투하
장면.

미국해병대 쉐퍼드중장.해군 스트루블중
장.육군 맥아더장군.육군 코트니 휘트니
준장등이 인천상륙작전전 시찰하고있다

유엔군사령관명의 귀순하라는 삐라.

미국제1기병사단부대가 평양거리의 모래
주머니방어시설을 지나고있다(1950.10.25)

중공군의 개입으로 부서진 다리를 위험하
게 건너는 피난민들(1950.12)

피난민들이 서울의 남쪽논길을 따라 달아
나고있다.

원주에서

차가운 대동강을 건너고 짐을 가지고 온
피난민들은 짐을 옮기고있다.

흥남부두. 낚시배에 탄 피난민들은 뒤에서 기다리고 있는 대형상륙함으로 옮
겨지길 기다리고있다.(1950.12)

엄마가 주위에서 위험한 상황을 망보면서
피로로 쓸어진 아이를 일으키고 있다.
(1951.3)

대전.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주요도로를
따라 행진하는 모습(1951.10.24)

식량원조계획의 도움으로 구호식량을 받
기위해 배급카드를 들고 줄서있는 모습.

어린아이들에게 DDT를 뿌려주고 있다.
(1951년)

새로 지어진 학교의 완성되지않은 교실
에서 저학년학생들이 수업을 받고있다.
(1953년)

전쟁으로 학교건물이 파괴되어 학생들이
밖에서 수업하고있다(1953.6.5)

초등학교3학년책.

교과서5종.

문산리. 22.000여명의포로들이 석방되
자 깃발을 흔들며 함성을 지르고있다.

부산. 포로수용소로 가기위해 기다리고
있는 북한군포로들(1950.10)

하늘에서 본 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모습.
당시 7만여명이 상륙작전에 참가하였음
(1950.9.15)

정전협정3자서명(1953.7.27)

당시 사회생활의 한 모습
(분3종.반월콜라. 성냥20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