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5. 21. 사진 일기(박동근 교장 아침해장접대, 아내목욕해주다.)
http://blog.daum.net/ybok1004/ 홈피 바로 가기
국제 테니스대회 호주 오픈 바브리카 우승 장면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7e9xRbwbUYsww44RbUpRY
2016. 7. 15. 김용복 이준찬/장대원 박승혜 테니스 경기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b08ff7BiwuOBEnjfnmijm
펑소처럼 아침 테니스를 마치고 샤워후 테니스 코트에 남아 도석하려 했으나
박동근 교장이 행장을 함께 하자해 아침을 먹고온 상태 사양했지 만합석해 이야기라도
강하게 권하여 전주 식당에 내렸다.
난 식사는 안하고 동창당 두내외와 박동근 교장은 식하고 나는 반주로 막걸리 두잔했다.
내가 식대를 계산하고 헤어져 나는 도로 테니스 코트에 왔다.
독서를 하려 했으나 집중이 안되어 라카에서 낮잠을 잤다.
그시간 집에 청소 아주머니와 요양보호사가 와 있는 시간이라 집에 가지 않았다.
1시경 좀 늦게 집으로 갔다.
오후 백봉문학상 응모 원고를 정리해 이멜일로 발송했다.
그리고 오후에 낮잠을 잤다.
아내와 저녁 식사후 저녁산책운동을 했다.
2009년 9월 24일 경기일보 기사
경기일보 기사
2018/05/21(월) 소련군의 세상이 되는구나 (21) |
|
김일성의 정체를 아는 사람은 몇 없었을 것이다. 그의 본명은 김성주라고 하고 그가 소련군의 장교였다는 사실은 알지만, 일제 시대에 우리가 알고 있던 김일성 장군은 아니라는 것만은 확실하였다. 독립투사 김일성 장군과 소련군 등에 업혀 평양에 입성한 김일성이 뭐가 다른가 하면 나이 차이가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나도 김일성이 평양 역전 광장에서 연설하는 모습을 직접 보았고 또 그 음성도 분명하게 들었는데, 그가 30대의 젊은이라는 것을 알고 놀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소련군에 의하여 급조된 민족의 지도자 김일성은 평양 근처에 자리 잡은 만경대라는 시골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모르지만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강반석이었다. 그 시대에는 여자들에게 뚜렷한 이름이 있었을 리가 없고 다만 교회에 다니던 여성들만이 세례명으로 이름을 하나씩 얻어 가지게 되었는데, 예수께서 베드로를 향하여 “너는 반석이다” 라고 이름 지어주신 것이 계기가 되어 김일성의 어머니 이름이 반석이 되었을 것이다. 만경대에 김일성의 생가가 마련되어 있어 평양을 방문하는 높은 사람들이 그곳에 안내를 받아 김일성의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이 하나의 관례처럼 되어 있었다. 김동길 Kimdonggill.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