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2. 18. 사진 일기(새벽부터 눈이 내리다. 알미카페 문우들 상견 저녁 식사))
http://blog.daum.net/ybok1004/ 홈피 바로 가기
국제 테니스대회 호주 오픈 바브리카 우승 장면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7e9xRbwbUYsww44RbUpRY
2016. 7. 15. 김용복 이준찬/장대원 박승혜 테니스 경기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b08ff7BiwuOBEnjfnmijm
새벽부터 눈이 내려 아침 테니스도 못나가고 방에 콕했다.
경기도 지방 폭설예보다.
간밤에 가자가용을 옥외 주차했는데 눈으로 덮여 있다.
오늘은 가능한 운전을 하지 않으련다.
저녁에 말미네 카페 문우들과 저녁 식사하기로 약속했다.
다행이 학주 시인이 모시러 온다니 고맙다.
하루종일 집에서 지내다가 박알미님의 저녁 초대에 다녀 왔다.
식사는 김학주 시인 조유정 시인 박알미 시인과 함께 했다.
저녁은 박알미님 부담 했다.
2017/12/18/월 -태어나는 그 시간부터- (3519) |
|
사람은 태어나는 그 시간부터 늙기 시작합니다. 꼭 그런 것이 아니지만 세 살 난 아이의 나이를 물을 때 “How old are you?”라고 하고, 그 대답은 “I am three years old”가 정답입니다. 서양은 젊음을 찬양하고 동양을 노인을 우대한다고 말이 있습니다마는 우리는 그런 식으로 나이를 묻지는 않습니다. 동양인이 과거에는 젊게 보인다는 말을 싫어한 탓인지 “젊지 않다”는 말이 칭찬이 되었습니다. 전차나 지하철의 객실마다 ‘경로석’을 마련하는 나라들은 동양에 많습니다. 서양 사람들이라고 노인들에 대한 배려가 아주 없겠습니까마는 ‘경로사상’은 우리 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늙어가는 자기를 초조하게 지켜보는 것은 서양 사람들이었고, 늙어가는 사실에 자부심을 갖는 것은 주로 동양인이었습니다. 나의 고백을 한 번 듣고 참고로 삼으세요. 장수가 축복은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젊었을 때에 비해 키는 3센티 이상 줄어든데다가 어깨가 축 늘어졌습니다. 손과 팔에 힘이 빠져서 무거운 것은 들 생각도 못합니다. 다리에는 힘이 없어 먼 길은 아예 못 갑니다. 목은 시들어 추하게 주름이 많이 잡혔고 머리는 백발인데 얼굴에는 검버섯이 다닥다닥 돋아나 거울을 보기가 민망합니다. 걸으면 중심이 잘 잡히지 않아 넘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풍전초사감’ (風前草似酣)은 술을 마시지 않았어도 비틀거리는 노인의 모습이라 하겠습니다. 여성이 타고나는 아름다움은 여전히 나의 삶의 기쁨이지만 괴테가 죽는 날까지 지니고 살았다는 그 ‘정열’이 내게 없음을 고백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창조하신 만물 중에서 내 눈에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피조물은 여성입니다. 주님께서 늙은 이 몸을 부르실 날을 기다리면서 인간의 상식을 초월한 어떤 희열을 느끼면서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도록 힘쓰렵니다. 김동길 www.kimdonggill.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