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사진 일기
2017. 9. 27. 사진 일기 (망해정 현판 토분 칠, 김윤배 시창작 수강)
무봉 김도성
2017. 9. 27. 14:42
http://blog.daum.net/ybok1004/ 홈피 바로 가기
국제 테니스대회 호주 오픈 바브리카 우승 장면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7e9xRbwbUYsww44RbUpRY
2016. 7. 15. 김용복 이준찬/장대원 박승혜 테니스 경기 동영상
http://tvpot.daum.net/v/v5b08ff7BiwuOBEnjfnmijm
2017/09/27(수) -사랑에 대하여- (3437) |
|
사랑에 관한 노래도 많고 이야기도 많지만 막상 사랑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사랑을 해본 일도 없고 사랑을 받아본 일도 없는 사람이 사랑을 운운한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입니다. 사람 사는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을 고아라고 합니다. 어머님·아버님의 사랑을 전혀 느껴보지 못하고 자란다는 것은 그 자체가 큰 불행입니다. 어머니의 사랑만이라도 받으며 자란 사람들은 그런대로 정상일 수 있지만 홀아비가 키운 자식은 성격이 잘못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우리는 <심청전>을 효녀 심청의 이야기로만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아무리 효성이 지극한 처녀라고 하여도 홀로이신 아버님이 장님인 사실이 가슴 아파서 바다에 몸을 던져 용궁을 찾아가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엄마 없이 자란 심청의 심정을 이해하게 됩니다. 다정다감하면서도 매우 예리했던 영국 시인 William Blake(1757-1827)가 이렇게 읊었습니다. Never seek to tell thy love Love that never told can be 사랑을 고백하려 애쓰지 마오 사랑이란 말로는 할 수 없는 것 사랑에는 조건이 없습니다. ‘믿음·소망·사랑’은 언제나 있어야 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사랑이라고 사도 바울이 밝힌 까닭이 있습니다.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의 원동력이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모든 사랑은 “주고 또 주고, 잘못이 있었어도, 용서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하나님은 곧 사랑이시기 때문에 그 큰 사랑으로 “God gives and gives and forgives”라고 말해야 옳다고 오래 전에 어떤 중국인 목사가 설교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사랑 때문에 사람은 기쁜 마음으로 살 수도 있지만 사람은 그 사랑 때문에 기쁘게 죽을 수도 있습니다. 사랑보다 더 힘찬 에너지는 이 세상에 없다고 나는 믿습니다. 김동길 www.kimdonggill.com |
|